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서울대병원-네이버, AI로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 예측한다

조회수 : 99 작성일 : 2025-11-07

서울대병원-네이버, AI로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 예측한다
- 약 15만명 건강검진 데이터·질병 유병·사망 정보 학습한 트랜스포머 기반 AI 모델 개발
- 생물학적 나이와 실제 나이의 차이(BA-CA 갭)로 건강 상태 분류...갭↑ 실제 생존율↓

[웹그림1]-인공지능-기반-생물학적-나이-및-미래-건강-위험-예측
[그림1] 인공지능 기반 생물학적 나이 및 미래 건강 위험 예측

서울대병원과 네이버 공동 연구팀이 건강검진 데이터를 활용해 개인의 생물학적 나이와 건강 위험을 함께 평가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트랜스포머(Transformer) 기반 딥러닝 구조를 적용해 15만여 명의 건강검진 정보와 질병·사망 데이터를 동시에 학습시킴으로써, 기존 모델보다 건강 상태 구분과 생존 위험 예측의 정확도를 높였다. 이번 연구는 생물학적 나이와 실제 나이의 차이를 활용해 개인 맞춤형 건강 위험 관리와 질병 예방 전략 수립에 기여할 수 있는 AI 기반 도구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생물학적 나이(Biological Age, BA)는 유전, 생활습관, 환경, 질병 이력 등 다양한 요인을 종합해 신체의 실제 노화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지표다. 실제 나이(Chronological Age, CA)보다 생물학적 나이가 낮으면 건강 상태가 양호함을 의미하고, 반대로 높으면 노화가 빠르거나 질병 위험이 높을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생물학적 나이 예측 모델은 주로 건강한 사람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만성질환자에게 적용하기 어렵고 사망 위험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조영민·배재현·윤지완 교수팀과 네이버 Digital Healthcare LAB 유한주·문성은 박사팀은 2003년부터 2020년까지 서울대병원 강남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51,281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데이터에는 신체계측, 혈액·소변검사, 폐기능 검사, 질병 유무 및 사망 정보가 포함됐으며, 연구 대상자는 혈당·혈압·콜레스테롤(지질) 수치에 따라 ▲정상군 ▲질환 전단계군 ▲질환군으로 분류됐다.

연구팀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트랜스포머 구조의 AI 모델을 설계했다. AI는 혈압, 혈당, 폐기능, 콜레스테롤 등 다양한 건강 지표를 통합 분석해 개인의 생물학적 나이(BA)를 예측하고, 이를 실제 나이(CA)와 비교해 두 값의 차이(BA–CA 갭)를 산출한다. AI는 학습된 대규모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건강 지표가 과거 생존율이 높았던 집단과 사망 위험이 높았던 집단 중 어느 쪽과 유사한지를 분석해 구체적인 예측값을 제시한다. 

또한 남녀의 생리적 차이를 반영하기 위해 성별별 모델을 각각 학습시켰으며, AI는 건강 지표 변화가 질병 유무 및 사망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학습했다. 이를 통해 단순히 생물학적 나이를 계산하는 데 그치지 않고, 현재의 건강 상태가 향후 생존율과 어떤 통계적 연관성을 가지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을 완성했다.

분석 결과, 이번에 개발된 AI 모델은 정상군–질환 전단계군–질환군을 명확히 구분했다. 정상군은 생물학적 나이가 실제 나이보다 낮게(BA < CA), 질환군은 높게(BA > CA) 나타나 건강 상태에 따른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혈당·혈압·지질 수치가 악화될수록 BA–CA 갭이 커졌으며, 심혈관질환이나 암이 있는 경우에도 이 갭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연구팀은 AI가 계산한 BA–CA 값을 기준으로 ▲건강군(BA–CA < −1) ▲기준군(−1≤BA–CA≤1) ▲비건강군(BA–CA > 1)으로 나누어 Kaplan–Meier 생존 분석을 수행했다.

그 결과, 남성의 경우 비건강군이 건강군보다 생존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01), 여성에서도 유사한 경향이 확인됐다(P=0.07). 즉, AI가 산출한 BA–CA 값이 클수록 실제 사망 위험이 통계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 입증됐다.

[그림2] 생물학적 나이와 실제 나이의 차이에 따른 전체 생존율 비교 (갭 기반 모델)
[그림2] 생물학적 나이와 실제 나이의 차이에 따른 전체 생존율 비교(갭 기반 모델): 남성에서는 건강군 대비 다른 두 그룹의 생존율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여성에서도 비슷한 경향이 관찰됨

반면 기존의 생물학적 나이 예측 모델(Klemera&Doubal’s Method, Chronological Age Cluster, Deep Neural Network)은 이러한 차이를 일관되게 구별하지 못했다.

조영민 교수(내분비대사내과)는 “이번 연구는 질병 유병 상태와 사망 정보를 동시에 학습한 최초의 트랜스포머 기반 생물학적 나이 예측 모델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AI가 단순히 생물학적 나이를 계산하는 것을 넘어, 개인의 건강 상태와 미래 위험을 함께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임상 도구로 발전했다”고 말했다.

이어 “서울대병원의 대규모 임상 데이터와 네이버의 첨단 AI 기술력이 결합해, 의료 전문성과 기술이 함께 만든 산학 협력의 대표적 성과”라고 덧붙였다.

번 연구 결과는 의료정보학 분야의 국제학술지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최근호에 게재됐다. 

[사진]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조영민 교수 (1)
[사진]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조영민 교수

홈페이지 오류신고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진료과 및 의료진 추천이나 진료일정 및 상담 문의는 진료 예약센터로 전화해 주십시오. 예약센터 : 1588-5700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

만족도 통계

만족도 통계(페이지, 총응답자, 정보게시일)
페이지
총응답자
정보게시일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보유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
본인인증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