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의학대학원 의학박사
감사의 메세지
교수님께 감사의 메시지를 전달 해보세요.
진료철학
인터뷰
공감, 신뢰, 그런 의사를 생각합니다.
Q. 환자들에게 어떤 의사이고 싶은지?
제가 아이들을 많이 봅니다. 중이염이나 난청, 이런 질환들을 주로 하고 있는데 주로 중이염이 걸리는 대상은 아이들이고 주로 보호자분들, 어머니들하고 많이 오시는데 저는 그 분들의 마음을 공감을 받을 수 있는 그리고 제가 친절하게 설명을 잘 해줄 수 있는 그런 의사가 되고 싶습니다.
Q. 관심 갖고 있는 연구나 진료 분야는?
중이염은 아이들한테 흔하게 걸리는 질환이기 때문에 저희가 물론 치료도 중요하지만 예방, 관리 이런 쪽 분야가 참 중요하다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저는 중이염의 예방, 관리 쪽 관련해서 연구를 많이 하고 있고, 중이염의 발생 원인 같은 것에 대해서 많이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Q. 기억에 남는 환자분이 있으신지?
제가 처음 인공와우를 시술을 했던 환자분인데요, 중학생이었습니다. 그 전에 보청기를 쓰고 말을 더듬더듬하기는 했었는데 인공와우를 사용하고 나서는 말도 굉장히 유창해지고, 학교 가서 공부도 굉장히 잘 하고, 학생이 자기도 장래에 의사가 되어서 자기 같은 환자들을 치료하고 싶다고 했을 때 굉장히 보람을 많이 느꼈습니다.
Q. 환자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중이염이 주로 아이들이 많이 걸리다 보니까 어머니들이 굉장히 걱정이 많으세요. 약을 많이 쓴다든지 항생제를 남용한다든지 아니면 불필요한 치료, 가령 근거 없는 약초 같은 것들을 사용하신다든지, 하는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혹은 수술이 필요한 시기가 있는데 걱정을 하셔가지고 수술을 미룬다든지, 꼭 필요한 시기인데, 그런 것들이 있어가지고 저희 의사들을 믿고 저희가 제시하는 표준적인 치료를 잘 받으시는 게 좋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학력/경력
학력
-
2008 ~ 2010
-
2004 ~ 2007
고려대학교 의과대학원 의학석사
-
1994 ~ 2000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사
경력
논문
-
제목
Otolith function in patients with head trauma.
-
발표지
Eur Arch Otorhinolaryngol. 2011 Oct;268(10):1427-30
-
발표년월
2011
-
제목
Meningioma mimicking vestibular schwannoma
-
발표지
Ear, Nose & Throat Journal. 2011Jul;90(7):299-300
-
발표년월
2011
-
제목
Repair of Large Traumatic Tympanic Membrane Perforation with a Steri-Strips Patch
-
발표지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1 Oct;145(4):581-5
-
발표년월
2011
-
제목
Simultaneous versus subsequent intratympanic dexamethasone for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
발표지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11 Dec;145(6):1016-21
-
발표년월
2011
-
제목
Does the kyphotic change decrease the risk of fall?
-
발표지
Clin Exp Otorhinolaryngol. 2011 Sep;4(3):118-21
-
발표년월
2011
주요저서
-
보청기-Current opinion on hearing aids
공저자
군자출판사
2012
-
이명-Current opinion on Tinnitus
편집위원
군자출판사
2011
건강정보
언론보도
14 | 국민일보 | “65세 이상 10명중 4명이 난청… 보청기 건보 적용하라” | 2025-01-21 |
13 | 이투데이 | 안경은 쓰면서 ‘보청기’는 왜?…노인 난청, 치매·우울 악순환 어쩌나 | 2025-01-13 |
12 | 이뉴스투데이 | [현장] “고령화에도 노인 배제 ‘난청’ 지원···보청기 급여화가 더 경제적” | 2025-01-13 |
11 | 경향신문 | 인공와우수술 했는데…“갑자기 안 들려요” | 2024-12-27 |
10 | 경향신문 | 건강노화, 의료적 사회적 생활적 공동접근 필요하다 | 202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