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기 클라미디아 감염증
[genital chlamydial infection]
세균의 한 종류인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성매개성 질환
신체기관
요도, 질, 자궁경부, 난관
소양감 , 근육통 , 배뇨통
정의
성기 클라미디아 감염증은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Chlamydia trachomatis)라는 세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성매개성 질환이다. 남성에서는 비임균성 요도염, 여성에서는 자궁경부염의 형태로 나타난다.
증상
잠복기는 불분명하지만 7~14일 또는 그 이상이다. 요도염에서는 소양감(가려움증), 배뇨통, 점액 농성(고름) 분비물이 나타난다. 남성이나 여성 모두에서 임균 감염증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임균 감염증보다 증상이 가볍다. 여성의 경우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항문 성교로 인하여 직장염이 발생할 수 있고 통증이나 후증(거의 낫다가 다시 덧나는 병)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원인
세균의 한 종류인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균이 원인 병원체이며 감염증은 성교에 의한 직접 감염으로 발생한다.
관련신체기관
요도, 질, 자궁경부, 난관
진단
임상적 판단이 중요하며, 검체(분비물)에서 임균이 확인되지 않을 경우 클라미디아 감염증일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이를 의심할 수 있다. 검체에서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균이 배양되거나 균의 유전자 또는 항원이 검출되면 클라미디아 감염증을 진단할 수 있다.
검사
요도, 질, 자궁 경부의 분비물을 채취하여 균 배양 검사를 시행한다. 균이 검출된 점막 세포에서 유전자 탐침(probe) 검사 또는 유전자 증폭법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균의 유전자나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도 이용된다.
치료
임균과 동시 감염되는 경우가 많다.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이나 독시사이클린(doxycycline)이 치료에 쓰이는 항생제이다. 임산부나 신생아에서는 이 약들이 사용 금기이며, 이 경우 에리스로마이신(erythromycin)을 투여한다.
경과/합병증
합병증으로 남성에서는 부고환염, 전립선염, 불임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여성에서는 난관염, 불임, 자궁외 임신, 만성 골반통이 발생할 수 있다.
예방방법
콘돔 사용 등의 안전한 성행위로 감염률을 낮출 수 있다. 감염자와 성행위를 했던 사람도 같이 치료를 받아야 한다. 감염된 산모에서 태어난 신생아는 생후 3주째와 12~18주 후에 무증상 폐렴을 확인하기 위해 흉부 X선 사진을 찍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