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말기암환자에게 자신의 병 상태를 알리는 것이 죽음의 질을 높이고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된다.

조회수 : 4237 작성일 : 2013-07-25

말기암환자에게 자신의 병 상태를 알리는 것이 죽음의 질을 높이고 의사 결정에 도움이 된다.
- 완화의료기관 이용한 말기암환자 345 명 조사 결과, 세 명 중 한 명은 본인의 병 상태 잘 몰라
- 병의 상태를 알면 미래에 대한 통제감, 현실적 희망 갖기 등 바람직한 죽음에 긍정적 영향
- 말기 치료계획에 대한 가족 합의, 환자의 자율적 의사결정에도 도움 

서울대학교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안은미 교수
  말기암환자에게 자신의 병 상태를 정확히 알리는 것이 죽음의 질을 높이고 말기 치료계획에 대한 의사 결정(decision making)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암건강증진센터 안은미, 신동욱 교수 및 국립암센터 연구팀은 2009년도 전국의 34개 보건복지부 지정 완화의료기관을 이용한 말기암환자 345명을 대상으로 본인의 말기상태를 아는 것이 죽음의 질과 치료계획에 대한 의사 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말기암환자 68.4%(236명)가 완화의료기관 입원 당시 본인의 병 상태를 정확히 알고 있었으나, 31.6%(109명)은 잘 모르고 있었다.

  연구팀은 말기암환자 사망 후 사별가족을 대상으로 사망 환자의 죽음의 질(Good Death Inventory)을 조사하였다. 죽음의 질 지표는 18개로 구성되며, 사별가족이 각각의 항목에 그 정도에 따라 점수를 체크했다.(전혀 그렇지 않다: 1점 ~ 매우 그렇다: 7점)

  그 결과 본인의 병 상태를 정확히 아는 환자군의 죽음의 질 평균 점수는 5.04점으로 잘 모르는 환자군의 4.8점 보다 높았다.

  특히 본인의 병 상태를 정확히 아는 환자군과 잘 모르는 환자군은 ‘미래에 대한 통제감 (control over the future)’에서는 5.18점 vs 4.04점,  ‘희망이나 즐거움을 가지고 지내는 것 (maintaining hope and pleasure)’에서는 4.55점 vs 3.92점, ‘병이나 죽음을 의식하지 않고 지내는 것 (unawareness of death)’에서는 4.41점 vs 4.26점으로 나타났다.

  말기 치료 계획에 있어 환자와 가족 간 이견이 있는 비율은 병 상태를 정확히 아는 환자군에서 25.1%, 잘 모르는 환자군에서 31.5%로 나타났다.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적어도 환자가 자신의 병 상태를 아는 것이 가족 간 의견 차이를 늘리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 간 이견이 있는 경우, 환자의 의견에 따라 결정한 경우가 본인이 병 상태를 정확히 아는 환자군에서는 48.9%로, 잘 모르는 환자군 24.1% 보다 높았다.

  동양의 유교문화권에서는 아직도 환자에게 위중한 병의 상태를 숨기고, 가족이 환자 대신 치료계획에 대한 의사결정을 대행하려는 경향이 남아 있다.

  신동욱 교수는 “환자가 스스로 말기 상태를 아는 것은 환자가 보다 편안한 죽음을 맞이하고, 환자와 가족이 보다 조화롭고 환자의 뜻에 따른 결정을 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말기암 환자가 인생을 편안히 마무리하고 더 나은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적절한 시기에 환자의 상태를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암정복 추진기획단과 국립암센터의 지원으로 시행되었으며, 저명 국외학술지인 ‘정신종양학(Psycho-Oncology)誌' 최신호에 발표되었다.  

홈페이지 오류신고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불편한점이나 개선사항 등의 의견을 작성해 주시면 검토 후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진료과 및 의료진 추천이나 진료일정 및 상담 문의는 진료 예약센터로 전화해 주십시오. 예약센터 : 1588-5700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연락처, 이메일,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연락처 - -
*이메일 @
구분
*제목
*내용

1. 수집 항목 : 작성자명, 연락처, 이메일 주소

2. 수집 및 이용 목적 : 의견 회신에 따른 연락처 정보 확인

3. 보유 및 이용 기간 : 상담 서비스를 위해 검토 완료 후 3개월 간 보관하며,
이후 해당 정보를 지체 없이 파기

만족도 통계

만족도 통계(페이지, 총응답자, 정보게시일)
페이지
총응답자
정보게시일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 불만족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서는 이메일 주소가 무단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위반 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뷰어 다운로드

뷰어는 파일 문서 보기만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뷰어로는 문서 내용을 수정하거나 삭제, 편집 할 수 없습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사용하는 문서는 한글2002, 워드, 파워포인트, 엑셀, PDF(아크로뱃리더) 5가지 입니다.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해당 뷰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뷰어를 다운로드 받아 각 개인 컴퓨터에 설치하셔야 합니다.
뷰어는 사용하시는 컴퓨터에 한 번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서울대학교병원 홈페이지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보내주시면 검토하여보다
편리한 홈페이지
를 만들겠습니다.


※ 개별 답변을 드리는 창구가 아니오며,
병원에 대한 전반적인 문의는 전화'1588-5700' (예약문의: 1번, 기타: 2번)로,
불편이나 고충 관련고객의 소리로 접수 부탁드립니다.

홈페이지 의견접수 입력
홈페이지 의견접수(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작성자
구분
*제목
*내용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 개인정보 수집/이용 목적

1. 수집/이용 목적: 홈페이지 의견접수를 통한 개선사항 검토 및 반영
2. 수집하는 항목: 이름, 제목, 내용
3.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 : 2년
4.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 전화예약상담(1588-5700)또는 고객상담실(02-2072-2002​)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체 메뉴

전체 검색

전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