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천식 표준 치료로 권고된 흡입스테로이드 처방 수년째 “제자리”

조회수 : 7641 등록일 : 2015-12-08

천식 표준 치료로 권고된 흡입스테로이드 처방 수년째 “제자리”
-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연구팀, 천식 환자 62만 여명 분석
- 흡입스테로이드 처방, 천식 임상진료지침 보급 후에도 늘지 않아
- 흡입제에 대한 환자 인식변화, 정책적 지원 필요
 

왼쪽부터 가정의학과 김상혁, 조비룡 교수
천식의 기본 치료제로 권고되고 있는 흡입스테로이드의 처방률이 수년째 제자리 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7년 11월 흡입스테로이드 처방을 늘리기 위해 ‘국내 천식 임상진료지침’이 의료현장에 보급됐지만 지침 전ㆍ후 처방률은 큰 변화가 없었다.

서울대학교병원 가정의학과 김상혁, 조비룡 교수팀은 2003~2010년 천식으로 병원을 방문한 624,309명의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 자료를 분석했다.

천식은 폐 속 기관지가 아주 예민해 호흡곤란, 기침, 거친 숨소리 등을 반복ㆍ발작적으로 일으키는 질환이다. 기관지의 알레르기 염증 반응이 원인이다.

국내 천식 진료지침(2007년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 개발)에서는 알레르기 염증 반응에 가장 효과적인 약제로 입으로 들이마시는 흡입스테로이드를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 따르면, 천식 임상진료지침 보급 전 천식 환자의 흡입스테로이드 처방률은 13.3%(368,193명 중 48,808)에 그쳤고, 이 비율은 지침 보급 후(16.4%, 256,116명 중 41,935명)에도 큰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경향은 1차 의료기관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1차 의료기관의 처방률(지침 전 7.8%, 후 10.6%)은 2차(전 19.3%, 후 21%), 3차(전 43.1%. 후 48.9%) 의료기관보다 크게 낮았다.

1차 의료기관은 국내 천식 환자 치료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도 연구 대상자의 81.7%가 이에 속했다. 1차 의료기관의 낮은 처방률이 큰 의미를 가지는 이유다.

김상혁 교수는 “의료 현장에서 흡입스테로이드 처방률을 높이기 위해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해 보급하는 등의 노력이 있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 지침 전 후 처방률의 큰 변화가 없었다. 이는 처방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 있다는 것” 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의사들이 심사평가원의 까다로운 흡입제 심사기준 때문에 처방을 꺼리는 것이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며 “환자들의 경구약 선호와 흡입제에 대한 거부감도 중요한 요인” 이라고 덧붙였다.

조비룡 교수는 “의사의 흡입제 처방을 활성화하고 환자의 흡입스테로이드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과 홍보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SCI급 학술지인 ‘대한의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통합검색

진료회원인증

최초 1회 진료회원 인증이 필요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은 진료 예약 시 건강보험 가입여부 확인 및 진료회원 인증을 위해 주민등록번호 또는 환자번호(진찰권번호)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주민등록번호 수집 고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15조 제1항 제2호에 따라,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개인정보를 수집·이용합니다.
- 수집 목적 : 건강보험 자격확인 및 진료회원인증
- 수집 근거 : 건강보험법 제12조, 의료법 제22조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
- 수집 기간 : 의료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따른 보존기간에 따름

이름
주민등록번호
국적
주소
진찰권번호
(환자번호)
본인인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