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강박증 환자, 뇌 구조 발달양상 달라

조회수 : 20968 등록일 : 2020-03-03

-서울대병원 권준수 교수팀, 전 세계 26개국 강박증 공동연구 주도 
-강박증 뇌구조 변이 네트워크 조직적 특성 규명한 세계 최대 연구

서울대병원 권준수 윤제연

  강박증의 원인 및 진행과정 규명에 한걸음 다가선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권준수·윤제연 교수팀은 강박증 환자와 정상인의 ‘뇌구조 변이 네트워크’ 양상을 비교한 연구결과를 3일 발표했다.

※ 강박증이란?
  강박증은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특정 생각, 충동, 장면(강박사고)이 반복적으로 떠오르고, 이에 따른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특정 행동(강박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질병이다.
  가령 가스불이 켜져 있어 화재가 날 것 같은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것이 강박 사고이고, 이로 인한 불안을 없애기 위해 반복적으로 가스불을 확인하는 것이 강박 행동에 해당한다.
  전 세계 인구의 약 2-3%가 일생동안 한 번 이상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권 교수팀이 주도한 이번 연구는 국제뇌연구협의체 ‘이니그마(ENIGMA, Enhancing Neuroimaging and Genetics through Meta-Analysis)’ 컨소시엄의 26개 연구진이 참여했다. 이들은 다수의 공동논문을 발표해 세계적인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 정신의학저널(JAMA Psychiatry)’, ’미국정신의학저널(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등에 게재하고 있다. 

  권 교수팀은 세계 각국 3,079명의 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해 강박증 환자의 뇌구조 변이 네트워크를 분석했다. 특히 개인의 뇌 발달과정에 주목했다. 뇌는 다른 기관과 마찬가지로 시간에 따라 변한다. 또한 그 변화양상은 뇌의 각 부위별로 독립적이다. 가령, 피질, 피질하 영역, 안와전두엽, 선조체, 하두정엽 등 각 뇌 영역은 뇌가 발달하고 성숙하면서 부피나 두께가 각기 개별적으로 변한다. 이렇게 각각의 변화양상을 수치화한 것이 ‘뇌 구조 변이 네트워크’다.

  연구팀은 정상인과 강박증 환자의 뇌 구조 변이 네트워크를 비교했다. 변화패턴을 분석하고 뇌 부위별 변화가 유사한 정도에 따라 분류했을 때, 정상인은 6그룹으로 분류됐다. 반면, 강박증 환자의 변화는 3그룹으로만 분류됐다. 이러한 결과는 강박증 환자에서는 비정상적인 뇌발달이 나타난다는 뜻이다.

external_image
그림 1. 정상인(왼쪽)과 강박증 환자(오른쪽)의 ‘뇌 구조 변이 네트워크’ 비교. 정상인은 전반적으로 6개의 모듈(그룹)으로 구분지어지지만, 강박증은 3개에 불과하다. 

  이번 연구는 강박증 원인규명과 치료법 개발에 한발 더 다가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과거부터 강박증 연구는 꾸준히 진행됐다. 기존에도 뇌 영상을 통해 강박증 환자의 뇌 구조가 정상인과 다르다는 사실은 밝혀냈지만,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논문 제 1저자 윤 교수는 “사람의 개인별 ‘뇌구조 변이 네트워크’는 뇌 구조의 발달-성숙과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며 “이번 연구는 강박증의 병태생리를 규명하고 추후 뇌자극 치료 시 치료부위를 선택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 이라 밝혔다.

  교신저자 권 교수는 “이니그마에 참여한 전 세계 26개국 연구진 중 국내 연구진은 서울대병원이 유일하다”며 “이번 논문의 제 1저자와 교신저자를 모두 국내 연구진이 맡아 세계적 역량을 입증했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진행됐으며, SCI 국제학술지 뇌(Brain,  IF=11.814) 최신호에 게재됐다.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