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병원뉴스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바로 알기

조회수 : 5668 등록일 : 2015-06-16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바로 알기

Q1. 메르스는 어떤 질병인가요?
  
A1.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MERS-CoV)감염에 의한 호흡기 질환으로 감염 시 발열을 동반한 호흡기증상(기침 또는 호흡곤란 등)을 보이며 일부 사례에서는 중증으로 진행되어 사망에 이르기도 합니다.

Q2. 메르스는 어떻게 감염되나요?
  
A2. 현재까지 명확한 감염경로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모든 환자들이 직간접적으로 중동지역과 연관(특히 사우디아라비아)이 있으며, 중동지역에서 체류하였거나, 낙타 시장 또는 농장 방문, 낙타 체험프로그램 참여 등 낙타와의 접촉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메르스에 감염된 사람과 밀접 접촉한 경우에는 사람과 사람간의 전파도 가능합니다.

Q3. 메르스는 감염되면 어떤 증상을 보이나요?
  
A3. 주로 발열(37.5℃이상)을 동반한 호흡기 증상( 기침, 호흡곤란, 숨가뿜 등)을 보입니다. 소화기 증상(설사 등)을 보이는 경우도 있으며, 만성질환 혹은 면역기능이 저하된 환자들에게서 폐렴,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이 동반되어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Q4. 메르스의 잠복기는 얼마나 되나요?
  
A4. 평균 5일(2-14일) 정도입니다. 사람마다 다른 잠복기를 가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 침입하여, 인체 내에서 증식하는 기간을 거쳐 몸 밖으로 배출되기 시작합니다. 이 때가 바로 증상이 발생하는 시점입니다.

Q5. 환자가 다녀갔던 병원은 다른 사람들이 방문해도 안전한가요?
  
A5. 메르스의 전파는 환자와 같은 공간에 동시에 머물면서 밀접한 접촉이 있었던 경우에 제한적으로 발생합니다. 환자가 이미 거쳐 간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메르스에 감염될 가능성은 없습니다.

Q6. 잠복기 중인 환자와 접촉한 사람은 메르스 진단검사를 시행하나요?
  
A6. 증상이 없는 잠복기 중에는 바이러스가 몸에서 배출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접촉이 있더라도 전파될 가능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잠복기 중에 접촉한 사람에 대한 진단검사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Q7.  접촉자에 대한 메르스 진단검사는 어떤 경우에 하나요?
  A7. 증상이 발생한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은 최종 접촉일로부터 14일간 자가격리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며, 그 사이 발열, 호흡기증상 등 이상증상이 나타날 경우 진단검사를 시행합니다.

Q8.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A8. 아직 예방용 백신과 치료제(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지 않아, 증상에 따라 적절한 내과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Q9. 메르스와 관련하여 자가격리는 며칠 동안 해야 하나요?
  A9. 메르스 환자와 밀접한 접촉을 한 경우, 증상이 없더라도 보건소에 연락하고 가족과 주변사람을 위해 접촉일로부터 14일간 자가 격리를 해야 합니다.

Q10. 왜 밀접접촉자를 격리해야 하나요?
  A10. 환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의 경우,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발생할 가능성에 대비하여 지속적으로 증상발생 여부를 관찰하고 외부활동을 통한 추가적인 접촉자 발생을 최대한 줄이기 위한 조치입니다.

Q11. 메르스 자가 격리를 알려왔습니다. 자가 격리 시 지켜야 할 생활 지침은 무엇입니까?
  A11. 자가격리를 하는 분들은 첫째 자택에서 생활하면서 외부 출입 및 공공장소 출입을 자제하십시오. 둘째 가족도 자택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셔야 합니다. 불가피한 경우에는 방을 달리 사용하는 등 나머지 가족과 접촉을 금하고, 생활용품 사용도 구분하여야 하며, 집에서도 마스크를 사용해야 합니다. 불필요한 친지의 방문도 막아야 합니다. 셋째 손을 철저히 씻고, 기침과 재채기시 휴지를 사용하여야 합니다. 넷째 증상 발현 시 조속히 보건소 또는 메르스 핫라인(국번없이 109)으로 연락하셔서 안내를 따르시기 바랍니다.

6월 16일
자료원: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바로알기

 

보건복지부질병관리본부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메르스 핫라인 바로가기

통합검색